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GMP 기반 리스크 관리(QRM) 및 일탈 관리(Deviation Management)

by RT. 2025. 3. 29.

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 환경에서 리스크 관리(Quality Risk Management, QRM)와 일탈 관리(Deviation Management)는 의약품 제조 공정의 품질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QRM은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을 사전에 평가하고 이를 통제하여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체계이며, 일탈 관리는 제조 공정에서 표준 작업 절차(SOP)를 벗어난 변동이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조사하고 적절한 시정 및 예방 조치(CAPA)를 수행하는 절차입니다. 두 관리 체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면 불량 발생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규제기관의 감사(Audit)에도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GMP 환경에서 QRM과 일탈 관리의 개념과 필요성, 실무 적용 방안 및 최신 트렌드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문서 서명 이미지

 

 

GMP에서 리스크 관리(QRM)의 개념과 필요성

GMP 환경에서 리스크 관리(Quality Risk Management, QRM)는 의약품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문제를 사전에 분석하고 평가하며, 이를 통제하여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체계를 의미합니다. QRM은 의약품 품질 보증의 필수 요소로,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의 Q9 가이드라인에서도 강조되고 있으며, 미국 FDA, 유럽 EMA, 한국 MFDS 등의 규제기관에서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QRM은 크게 위험 식별(Risk Identification), 위험 평가(Risk Assessment), 위험 통제(Risk Control), 위험 검토(Risk Review) 네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먼저, 위험 식별 단계에서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해야 합니다. 원료, 제조 환경, 장비, 작업자의 실수 등 다양한 요인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험 평가 단계에서는 발견된 리스크를 심각성(Severity), 발생 가능성(Probability), 감지 가능성(Detectability)의 세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리스크의 수준을 평가합니다. 일반적으로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고장 모드 및 영향 분석),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위해 요소 분석 및 중요 관리점) 등의 기법이 활용되며, 이를 통해 리스크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관리 대상을 선정합니다. 위험 통제 단계에서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설계하고 실행해야 하며, 공정 개선, 원료 변경, 작업자 교육 강화 등 다양한 방안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위험 검토 단계에서는 도입한 리스크 관리 조치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지속적으로 평가하며, 필요시 추가적인 개선을 수행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분석과 AI 기반 예측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위험 감지 및 예방 조치를 수행하는 스마트 QRM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정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고 품질 관리의 신뢰성을 한층 높이고 있습니다.

GMP에서 일탈 관리(Deviation Management)의 절차 및 적용 방안

일탈 관리(Deviation Management)는 제조 공정에서 표준 작업 절차(SOP)를 벗어난 변동이나 예상치 못한 품질 이상이 발생했을 때 이를 공식적으로 보고하고 원인을 조사하여 적절한 시정 및 예방 조치를 수행하는 절차입니다. GMP 환경에서는 모든 제조 공정이 SOP에 따라 운영되어야 하지만, 실제 생산 과정에서는 장비 오작동, 작업자의 실수, 원료 이상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계획된 기준을 벗어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탈이 적절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제품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리콜이나 규제기관의 승인 취소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일탈 관리는 일반적으로 일탈 보고(Deviation Reporting), 원인 조사(Investigation), 근본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 시정 및 예방 조치(CAPA, Corrective and Preventive Action), 검토 및 승인(Review & Approval)의 5단계로 진행됩니다. 먼저, 일탈 보고 단계에서는 공정 변동, 품질 이상, 장비 고장 등으로 인해 SOP를 벗어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즉시 이를 문서화해야 하며, 모든 일탈 사항은 품질 보증(QA) 부서에서 공식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이후 원인 조사 단계에서는 발생한 일탈이 제품 품질과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품질 관리(QC) 부서와 협력하여 품질 시험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원인 분석 단계에서는 5 Why 기법(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해 "왜?"를 5번 반복하여 질문하는 방법)이나 Fishbone Diagram(물고기 뼈 다이어그램) 등의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도출합니다. 원인이 확인되면 CAPA 계획을 수립하여 동일한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하며, 이러한 조치는 장비 유지보수 강화, SOP 개정, 직원 교육 확대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검토 및 승인 단계에서는 QA 부서가 모든 조치가 적절히 수행되었는지 확인하고, 규제기관 감사(Audit) 시 제출할 수 있도록 기록을 보관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전자 품질 관리 시스템(eQMS)을 활용하여 일탈 보고 및 분석을 자동화하고,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예방 조치를 수행하는 방식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신 트렌드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리스크 및 일탈 관리 혁신

GMP 환경에서 리스크 관리(QRM)와 일탈 관리(Deviation Management)는 디지털 기술 도입을 통해 더욱 정교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 도입으로 인해 우선, AI 및 머신러닝 기반 리스크 예측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품질 이상을 사전에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온도, 습도, 압력 등의 변화를 분석하여 품질 문제를 자동으로 경고하고,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는 방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무결성 강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GMP 환경에서는 변경 이력 추적과 데이터 신뢰성이 중요하며, 블록체인 기반 품질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면 기록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규제기관 감사(Audit) 시 높은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클라우드 기반 전자 품질 관리 시스템(eQMS) 확산으로 다국적 제약사들이 글로벌 생산시설에서 동일한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 공유와 분석이 가능해지고, 규제 준수 부담을 줄이며 감사 대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IoT 기반 스마트 제조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과 예방 유지보수(Predictive Maintenance)가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센서를 활용하여 공정 변동을 감지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정 일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빅데이터 분석과 AI 기반 의사 결정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리스크 평가와 일탈 분석이 자동화되고 있습니다. 수십만 건의 품질 데이터를 분석하여 패턴을 감지하고, 특정 원료나 공정이 반복적인 문제를 유발하는지 평가하여 사전 조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혁신을 통해 GMP 품질 관리 체계가 더욱 정밀해지고, 신속하고 정확한 리스크 대응이 가능해질 것입니다.